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국민·퇴직·개인연금… 어떤 순서로 타야 세금 덜 낼까?

by 루카스22 2025. 11. 7.

한눈 요약

  • 국민연금 먼저: 공제 폭이 넓어 기본틀로 받기 유리
  • 사적연금(연금저축·IRP)은 연 1,200만 원 이하로 분할 수령(낮은 세율로 분리과세)
  • 초과 불가피: IRP(퇴직금 재원) 연금수령을 우선해 세부담 낮추기
  • 마지막으로 분리과세 vs 종합과세 비교해서 유리한 쪽 선택

왜 이런 순서인가?

  • 국민연금: 연금소득공제·인적공제 등 완충장치 → 같은 금액이라도 실효세율 낮음
  • 사적연금: 합계 연 1,200만 원 이하면 낮은 세율로 깔끔하게 종결
  • IRP(퇴직금 재원): 연금으로 받으면 퇴직소득세의 일부만 과세되는 특례 → 초과 상황에서 특히 유리

권장 수령 로드맵(체크형)

  1. 국민연금 개시/수령
    • 생활비의 “기본틀”로 설정
    • 공제 덕에 세부담 얇게 시작
  2. 사적연금 총액 설계 (연 1,200만 원 룰)
    • 연금저축·IRP 월 지급액 조정 → 월 100만 원 내외로 세팅
    • 연금 개시 전이라도 금융사에서 지급계획 변경 가능
  3. 초과가 불가피할 때: IRP 먼저
    • 같은 초과라면 IRP(퇴직금 재원) → 연금저축 순으로 꺼내기
    • 연금 형태 유지(일시금 인출은 불리)
  4. 최종 비교
    • (A) 사적연금 분리과세 시나리오 vs (B) 종합과세 시나리오
    • 다른 소득·공제 반영해 엑셀 한 장으로 세액 비교 후 결정

상황별 베스트 시나리오

1) 다른 소득 거의 없음

  • 국민연금 전액 수령 + 사적연금은 연 1,200만 원 이하
  • 단순하면서 안정적

2) 임대·근로소득이 꽤 있음

  • 사적연금 1,200만 원 이하 유지가 어렵다면
    IRP 연금수령 우선 + 남는 초과분 분리과세 vs 종합과세 비교

3) 목돈이 급히 필요

  • IRP 연금 외 인출은 보통 원천징수 불리
  • 부득이한 사유 인정 시 예외 가능하나, 가급적 연금 형태 유지

간단 예시(숫자로 감 잡기)

  • 조건: 65세, 국민연금 연 1,000만 원, 사적연금에서 연 1,400만 원 필요
    • 플랜 A(권장): 사적연금 연 1,200만 원까지만 수령, 200만 원은 다음 해로 이연
      → 사적연금 분리과세 유지 + 국민연금 공제로 세부담 얇음
    • 플랜 B(불가피 초과): IRP에서 우선 수령해 초과 최소화 → 남은 초과분은 분리 vs 종합 비교 선택

실무 셋업 팁(바로 적용)

  • 월 지급액 리셋: 연금저축·IRP의 월 수령액을 조정해 연 1,200만 원에 맞추기
  • IRP 통합/이체: 퇴직급여는 가능하면 IRP로 모아 연금수령 전제
  • 연 1회 시뮬레이션: 다른 소득·공제(의료비, 기부금 등) 업데이트 → 두 시나리오 세액 비교

자주 묻는 질문(FAQ)

Q1. 국민연금을 뒤로 미루고 사적연금부터 받는 게 낫나요?
A. 세금만 보면 국민연금 먼저가 보통 유리합니다. 공제가 넓고, 사적연금은 연 1,200만 원 이하로 나눠 받는 전략이 안정적입니다. (건보료·연기수령 증액 등 비세무 변수는 별도 검토)

Q2. 사적연금이 1,200만 원을 조금 넘어요.
A. 넘는 순간 종합과세 트리거가 켜질 수 있습니다. 이때 IRP 우선 사용으로 초과를 줄이고, 최종적으로 분리과세 vs 종합과세를 계산해 더 낮은 쪽을 선택하세요.

Q3. 왜 IRP가 초과 구간에서 유리하죠?
A. 퇴직금 재원을 연금으로 받을 때는 세 부담이 완화되는 구조라, 같은 금액이라도 일반 연금저축보다 유리해지는 케이스가 많습니다.

Q4. IRP에서 일시금(연금 외)으로 뽑으면?
A. 원천징수가 커져 손해 보기 쉬움. 예외 사유가 아니면 가급적 연금 형태 유지가 정석입니다.


마지막 체크리스트

  • 국민연금 개시·월액 확인(생활비 기본틀)
  • 연금저축·IRP 월 지급액 조정 → 연 1,200만 원 맞추기
  • 불가피 초과분은 IRP부터 수령
  • 매년 두 시나리오 세액 비교 후 선택

참고: 본 내용은 일반 정보이며 개인별 소득·공제·건보료 상황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간단한 시뮬레이션으로 본인 수치에 맞춰 확인해보세요

 

 

기초연금 자격 조건과 신청 절차 한눈에 보기 (최신 기준 반영)

1) 초간단 요약 카드대상 연령: 만 65세 이상소득 요건: 소득인정액 ≤ 선정기준액단독가구 2,280,000원 / 부부가구 3,648,000원월 최대 기준연금액: 342,510원지급일: 매월 25일(휴일이면 앞당김)소급 규

lukasnote.com

 

 

장애인연금 2026년 개정사항 완전정리 – 기초급여부터 선정기준까지

1) 핵심 요약 기초급여: 월 342,510원부가급여: 월 30,000~90,000원(차등)월 최대 예시: 432,510원선정기준액(소득인정액 기준): 단독 1,380,000원, 부부 2,208,000원지급일: 매월 20일(휴일이면 앞당겨 지급)2)

lukasnote.com

 

 

보이스피싱 당했을때 대처법과 신고 절차 완전 정리

보이스피싱 피해를 입었다면 1분이 급합니다.계좌 ‘지급정지’부터 경찰·금감원 신고, 환급 절차까지 2025년 기준 최신 가이드로 한 번에 정리합니다. 0분~10분: 가장 먼저 할 일(초동 대응 체크

lukasnote.com

 

 

독감 백신 맞고 아픈데 정상? 정상 반응 vs 위험 신호 한눈에 정리

핵심 요약정상 반응(1~2일 내 호전): 접종 부위 통증·붓기, 미열, 두통, 근육통, 피로감. 대부분 휴식과 수분 섭취로 좋아집니다.위험 신호(즉시 진료): 호흡곤란·전신 두드러기·입술/얼굴 붓기, 4

lukasnote.com